본문 바로가기

비건축으로 독립생존기 2

2021. 3. 31.

간간히 기록을 남긴다는 것은 굉장한 부지런함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1편을 쓴지도 2달이 다 되어가는 지금 좀 더 자주 글을 쓰는 습관을 가져야겠다고 반성하며, 두번째 이야길 해보려 한다.

나의 첫 건축사 시험은 2017년도에 시작했고, 그 해 9월 응시. 결론적으로는 모든 과목에 낙방했다. 회사와 병행하는 공부는 처음이었고 시간의 어려움을 변명 하고 싶지만, 나와 비슷한 상황에 놓인 사람도 많기에 그건 부끄럽다. 아무튼 그 이듬해부터 1과목씩 합격하여 2020년 1회 시험 3교시 합격을 마지막으로 긴 터널을 빠져나올 수 있었다.
합격자들 대부분 이야기 하지만 홀가분함과 기분 좋음은 일주일 정도가 전부다. 이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로 머리 속을 복잡하게 만든다. 의사, 변호사, 변리사, 세무사 등 많은 '사'가 붙어있는 자격증들 중에서 건축사가 나에게 가져올 이득은 앞의 직업군들 보다는 훨씬 미천하다. 결론적으로는 독립을 하기 위한 아주 기초적인 일에 지나지 않다라고 생각한다. 아직 해야할 일이 많구나.

첫번째로 정리 할 일은 직장에서 어디까지 지식과 경험을 얻고 독립을 할 것인가 였다. 누구는 좀 더 디테일이 있는 사무실에 다녀서 내실을 다진 후에, 누구는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경험 한 후에, 누구는 계약되는 프로젝트가 생긴 뒤에, 누구는 경영하는 법을 좀 더 익힌 후에 독립을 하겠다고 했다. 난 그 생각들과 반대로 움직여보기로 했다. 물론 모든 것들을 갖추고 시작하면 좋겠지만, 그러려면 60대가 되어도 독립하지 못할 것 같다. 몇 년전에 남미로 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다. 그 때는 결혼도 하기 전, 직장도 그만두고 떠날 수 있었던 그 일을 지금 하라고 하면 못할 것 같다. 많은 것을 알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어떨 땐 오히려 큰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시행착오를 겪겠지만, 과장 팀장 5년보다 소장 1년이 배우는 것이 더 많다고 하지 않나. 다만, 그렇다고 무턱대로 다니고 있는 사무실을 그만 둘 수 없으니 자금 마련과 독립 준비의 기간으로 삼고 1년직 계약직을 찾아 이직을 하게 된다. 계약직은 그만두기에 용이하기 위함도 있었지만, 나 스스로에게도 혹시나 더 다니고 싶은 마음이 들까봐 애초에 기간을 정해놓기로 한다. 이제 4월이면 1년이 되는 기간이니 지나간 이야기가 아닌 진행 되는 일들을 여기에 적을 수 있을 것 같다.

두번째로 정해야 할 일은 사무실의 큰 방향과 내가 하고 싶은 운영계획이다. 이 부분은 오래동안 생각한 것들이 정리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다음 글에 천천히 하나씩 적어보도록 하겠다.

uk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