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건축으로 독립생존기 7

2021. 12. 7.

춘천 주택은 중요한 지점들이 있었다.
자연녹지지역은 건폐율 20%으로 제한되어 있는 곳이었고, 이는 필연적으로 80%의 외부 공간을 가지게 된다. 단독 주택을 지으면서 넓은 마당을 가지는 것이 당연히 좋지 않겠냐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관리 문제를 비롯하여 넓은 마당의 효율적이지 못한 사용성과 성격이 불분명한 공지를 계획하는 입장에서는 무책임한 공간이 될 것이 자명했다. 무심히 자라고 있는 잡초들과의 싸움은 덤일지도 모른다.

20% MASS - 80% OUTSIDE SPACE

이 지점을 건축 의뢰인과 상의하면서 나는 외부 공간을 쓰임의 맞는 스케일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은 어떤지 제안했다. 대지는 충분히 여유로운 상황에서 나누어서 사용하여도 불편함이 없는 공간이 나오기 때문이다. 집으로 들어가는 마당, 집 내부에서 쓰이는 마당, 전면 외부 마당으로 성격을 정의하고 3가지 mass type을 최종 제안했다. 여러가지 고민을 거친 후 중정을 가진 3번의 타입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그 이후로 설계 과정은 순탄했다. 건축 의뢰인은 명확하게 주택에서 원하는 지점들이 있었고, 내가 제안하는 주택의 평면과 공간들을 대체로 만족해하셨다. 아직 디테일을 풀어야 하는 것들이 있지만, 전체 계획은 완성이 되었고, 도면 작성 및 인허가를 진행시켰다.

계획 완성한 춘천 해담은 주택

공사 예산과의 전쟁은 계획 완성 후 벌어질 예상된 문제였다. 보통 모든 프로젝트들이 예산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 경우는 좀 더 문제점이 많았다. 원래 설계사무소를 거치지 않고 지방의 하우징업체나 지역 부동산을 통해 소개받은 업체에서 집짓기를 진행하시려고 하던 건축 의뢰인은 그 회사들의 시공 견적을 표준으로 알고 계셨다. 어떻게 설계도 없는 집을 평당 단가로 설명하며 계약을 하고 집을 지을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들의 단가는 내가 알고 있는 단가와는 너무나도 차이가 컸다. 거기에다 코로나로 인하여 모든 자재값이 올랐다고 하고(특히 목재) 가견적을 받기 위해 몇 군데 시공사에 요청을 했지만 아예 공사 예산과는 맞지 않다며 견적조차 포기하는 상황이 이어졌다. 단가가 많이 올라서 계약해두었던 프로젝트도 계약을 해지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다행히 두개의 시공업체가 견적까지 작업을 해주었고, 예상대로 건축 의뢰인의 예산을 웃도는 금액이었다. 우선 하우징업체의 견적과 시공업체와의 단가 차이가 왜 나는지에 대한 설명이 가장 큰 문제였다. 나로서도 하우징업체가 어떻게 그런 견적을 가지고선 집을 지을 수 있는지는 정확히 모르겠다. 건축의뢰인에게는 내가 가지고 있는 몇가지 의문점을 설명드렸다. 내역서가 공정별로 쪼개져 있지 않고 '식'의 개념으로 적힌 견적서로 중간 과정의 시공 방식과 재료가 어떤 프로세스인지 알 길이 없고, 마감이 된 후에는 내부에 어떤 재료가 어떻게 시공 되었는지 모르게 된다. 또한 가지고 있는 도면으로 시공하면서 자신들이 가진 자재 백화점을 활용하여 실행 오차와 단가를 줄이는 방식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새로 설계한 설계사무소의 도면의 적응력이 어떨지 알 수가 없다. 마지막으로 현장 소장이 하나의 현장을 맡아 상주하지 않고, 여러 현장을 돌아다니는 것으로 인건비를 아낄텐데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의 소통 능력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 등의 문제점을 말씀드렸다. 물론 내가 소개하거나 알아본 시공사도 비슷한 문제가 일어날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내역서를 만들 수 있는 시공사와 진행해야 나중에 분쟁거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설득이 시작되었다. 많은 토론과 이야기 끝에 시공 업체도 조금 양보하고 건축주도 예산을 더 확보하는 선에서 시공사 선정의 지리한 시간이 끝났다.

시공사 선정까지 끝낸 지금은 12월이 되었고, 겨울 공사를 피하기 위해서 착공은 내년 2월로 미뤄둔 상태이다. 그 사이에 도기, 타일, 수전 등의 상세 스펙을 정리하여 추가 금액의 오차범위를 최대한 좁혀 두고선 착공으로 들어가려고 한다. 조금 여유가 생겼기에 담장 디자인, 붙박이 장 디자인, 각 종 상세들을 스터디 하고, 모형도 만들어보면서 봄을 기다리려고 한다.

uk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