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건축으로 독립생존기 02

2022. 12. 22.

2022년이 끝나가는 12월이다. 올해는 여러모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이전 회사에서 퇴사를 하고, 참여한 공모전에서는 아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개인 프로젝트 수주도 하나도 못하였다. 새로 이직한 회사에서는 여러가지 상황에 휘말려 아직도 붕떠있는 외로운 섬같은 존재가 되었다. 지난 십년간 상하이에서 있는동안 이번해보다 어려운 날이 있었을까싶다.  외국에서 살면서 어떤 어려움이 있었었나? 외국인 디자이너로서 중국에서 어떤 고민들이 있어왔었는지 되돌아보게된다.

1.
디자이너로서 살아간다는 한국에서도 물론 쉽지 않은 길이지만, 외국에서는 한가지 능력이 더 요구된다. 단순히 영어가 아니라 언어라는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한 전반적인 소통능력이다. 다른 모든 직종이 그러하겠지만 디자이너는 한 자리에 머무르지 않는다. 주니어에서 프로젝트 디자이너가 되고, 시니어 디자이너를 거쳐 아래 여려명을 거느린 디자인 팀의 리더가 되어야 한다. 이에 발 맞추어 팀원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는 능력,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이해하는 능력, 현장에서 의견을 관철시키는 노하우, 공공을 대상으로한 강연의 장소에서의 프리젠테이션 등, 직급과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나의 생각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들을 모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전달하는 과정은 때론 디자인과정 그 자체보다 어렵다. 디자인이란 나를 위한것이 아니라 누군가에게 팔아야하는 하나의 상품이기 때문이다.

2.
건축/인테리어에서 커리어는 단순히 디자인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디자이너로 시작해서 프로젝트 매니져로도 나아갈수 있고, 도면과 법규적인 검토를 주로 하는 테크니컬 디렉터나, BIM이나 3D 모델링을 전문으로 나아갈수도 있으며, 비지니스를 관장하는 BD로 갈수있다. 다양한 길이 있고, 상황에 따라 혹은 역량에 따라 전환하여 커리어를 계속 이어갈 수 있다. 하지만 현지언어를 못하는 외국인 디자이너는 주로 디자인으로만 한정하여 성장해 나아가야 한다. 이것이 한계가 되어 다양한 길로 나아가는 가능성을 차단한다.

3.
사람은 머무르는 환경과 교류하는 사람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아무래도 와국애서의 생활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과 충돌하는것이다. 그들에겐 당연한것이 나에게 이상한 일이고, 나에게는 당연한것이 그들에게는 당혹스러운 일일지도 모르기때문이다. 공간은 그 안에서 이용한 사람을 위한 것이니 당연하게도 사람과 문화가 다르다 보니 공간 또한 달라진다. 하지만 그것을 알일이 없는 나로서는 당황스러운 순간들이 적지 않았다.

이러한 고민과 어려움이 좀더 성장할수 있는 토대가 되었던것은 아니겠나싶다.
다가올 2023년은 조금 더 희망이 보이는 해가 되었으면 한다. 진지한 고민들과 결과물을 차분이 만들어가면서 칼을 갈고 있자. 날카로운 송곳은 어디에서든 삐져나오길 마련이다.






'비건축의 건축 상해 생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건축으로 독립생존기 01  (0) 2021.09.13
댓글